여행·교통 거래액도 최대…배달음식 주문 주춤

온라인 식품 거래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그 70% 이상이 모바일 쇼핑을 통해 이뤄지는 등 '스마트폰 장보기'가 일상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3일 내놓은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온라인 식품(음·식료품, 농·축·수산물) 거래액은 3조6216억원으로 1년 전보다 7.8% 증가했다. 이는 2017년 통계 개편 이래 가장 많은 것이다.
음·식료품(2조5654억원·10.3% 증가)과 농·축·수산물(1조562억원·2.2% 증가) 모두 각각 역대 최대였다. 이 가운데 모바일 거래액은 2조6418억원으로 전체 온라인 식품 거래액의 72.9%를 차지했다. 모바일 식품 거래액도 1년 전보다 5.7% 늘어 역대 최대였다.
통계청은 "온라인 장보기의 편리함 때문에 온라인 음·식료품 거래액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며 "1월에는 설 명절이 포함돼 특히 음·식료품 소비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1월에는 여행·교통 서비스 분야 온라인 거래액(1조8845억원)도 역대 최대였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며 일상생활이 회복된 데다 설 연휴가 끼어 있어 지난해 1월 대비 두 배(105.4%)로 증가했다.
문화·레저 서비스와 e쿠폰 서비스 거래액도 1년 전보다 각각 38.7%, 16.8% 늘었다. e쿠폰 서비스는 선물하기 편리하고 쿠폰이 다양한 데 힘입어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반면 음식 서비스(배달음식) 거래액은 2조2295억원으로 1년 전보다 8.3% 줄었다. 배달음식 거래액은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지난 1월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7조9192억원으로 1년 전보다 6.3% 늘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한동안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급성장하다가 지난해 8월(15.9%) 이후 증가율이 한 자릿수(9월 9.0%, 10월 7.7%, 11월 6.6%, 12월 4.8%, 올 1월6.3%)로 낮아지며 둔화됐다. 전체 온라인 쇼핑액 중 모바일 거래액 비중은 75.3%로 0.5%포인트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