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0만명 참여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의료혁신도 선도

정부가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마이데이터'를 구축하고 규제 개선과 연구개발 지원, 인력 양성을 통해 의료산업 수출을 늘려 바이오헬스 분야 글로벌 6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5년 안에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개발하고, 의료기기 수출액을 두 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범부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부는 우선 환자의 의료 정보를 공유하는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해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연구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은 분산된 개인 건강정보를 개인, 의료진 등에게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기반을 올해 안에 구축한다. 현재 시범 운영 중인 건강정보고속도로(의료기록 데이터 중계 시스템)의 본사업을 6월부터 시작한다.
정부는 국민 100만명이 참여하는 데이터로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해 이를 연구자에게 개방해 의료 혁신을 선도한다는 구상도 마련했다. 다만,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과 관련해선 개인의 건강정보가 보험업계나 돌봄기관 등에 무분별하게 유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보 사용에는 개인으로부터 동의를 받는 절차가 있지만 고령층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보호 장치가 요구된다.
정부는 암질환의 임상 정보, 청구·검진 및 사망 정보를 연계·결합한 임상데이터 네트워크(K-CURE)를 2025년까지 구축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결합해 연구자 등에 제공하는 플랫폼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2027년까지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가 개발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국가신약 개발사업에 2조2000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제약업체의 글로벌 진출 지원을 위해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K-바이오백신펀드) 조성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수출을 지난해 86억달러에서 2027년 160억달러로 끌어올려 세계 5위 의료기기 수출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영상진단, 체외진단, 치과 등 주력 수출 분야의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디지털헬스 등 유망 분야에 전략적 투자를 추진한다.
해외 환자의 국내 유치를 위해서는 우수 외국인환자 유치기관 지정을 지난해 27개에서 올해 50개 이상으로 늘리고 비자 제한을 완화할 방침이다. 첨단·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능력을 높이기 위해 의료기기, 병원장비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술혁신 과정을 지원하는 한편 바이오헬스 분야 기술 사업화를 돕는 '한국형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 분야 11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창업 지원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를 설립하고, 바이오헬스 계약학과를 5개에서 8개로 늘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