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시험을 준비하는 청년층(15∼29세)이 2006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올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취업시험 준비생 10명 중 3명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이른바 '공시족'이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19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 907만3천명 중 취업자나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 등 경제활동인구를 제외한 비경제활동인구는 468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7천명 줄었다. 이들 비경제활동인구 중 당장 구직활동을 하지는 않지만 취업을 위한 시험을 준비하는 경우가 71만4천명으로 비경제활동인구의 15.3%를 차지했다. 취업시험 준비생의 수와 비율은 1년 전보다 각각 8만8천명 많고, 2.2%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취업시험 준비생의 규모는 2006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가장 컸다.
통계청은 "작년 5월에 있었던 지방 공무원시험이 올해는 6월로 늦춰지며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가 줄어든 대신 취업시험 준비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며 "25∼29세 전체 인구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는 일반직 공무원(30.7%)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24.8%), 일반 기업체(23.7%), 언론사·공영기업체(9.9%)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4.3%포인트), 언론사·공영기업체(1.9%포인트) 등은 상승한 데 비해 일반직 공무원(-2.6%포인트) 등에서는 하락했다.
한편 청년층 대학졸업자(3년제 이하 포함)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 2.8개월로 1년 전보다 0.1개월 늘었다. 4년제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5년 1.1개월로 1년 전과 같았다. 남자는 6년 1개월, 여자는 4년 5개월이 걸렸다.
대학생활 중 휴학을 경험한 비율은 45.8%로 1.4%포인트 상승했다. 남자는 77.9%, 여자는 23.2%가 휴학 경험이 있었다. 4년제 대졸자 중 휴학 경험자의 비율은 54.3%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높아졌고, 3년제 이하 대졸자 중 휴학 경험자도 33.2%로 2.0%포인트 상승했다.
대학생의 휴학 사유로는 남자는 병역의무 이행(95.3%)이 가장 많았고, 여자는 취업 및 자격시험 준비(59.1%), 어학연수·인턴 등 현장 경험(33.4%)의 순서로 나타났다. 평균 휴학기간은 남자가 2년 4.2개월, 여자는 1년 3.1개월이었다.
최종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뒤 취업을 한 경험이 있는 청년은 전체의 86.2%였다. 13.8%는 졸업 이후 계속 '백수'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