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최고 8% 넘어서 ' 매수세 회복 '판단 일러

1월 첫 주 서울 아파트값이 9개월 만에 하락세가 둔화한 가운데 매수심리도 소폭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여전히 지수 60대로 낮지만 급락하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부동산 관련 규제를 대부분 완화한 1․3 대책으로 인해 8개월 만에 반등했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공개한 1월 첫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4.1로 지난주(63.1)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상승세로 바뀐 것은 지난해 5월 첫 주(91.1) 이후 8개월(35주) 만이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 주 조사(99.6)에서 100 아래로 내려갔다. 이후 1년 1개월째 100을 밑돌며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매수우위 시장이 이어졌다. 지난해 5월 이후 매주 하락하며 지수 60선을 위협했다.
그런데 정부가 지난해 말 2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또는 유예 방안과 규제지역 추가 해제 방침을 공개하고, 지난 3일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과 수도권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는 등 전 방위 규제완화에 나서자 매수심리가 일부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1월부터 조금씩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속 '급급매'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30건으로 10월(558건)보다 30.8%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신고건수는 6일 현재 558건이다. 실거래가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것을 고려하면 전월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매매수급지수가 여전히 60선에 머물러 매수세가 살아났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또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이 연 8%를 넘어선 데다 상반기에도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어서 본격적인 거래량 증가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