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92.7%그쳐…2019년 2분기 이후 최저

금리 상승과 집값 하락으로 인한 주택 분양시장 냉각 현상이 서울 아파트까지 확대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초기분양률은 92.7%로 집계됐다. 직전 2분기보다 7.3%포인트 낮은 것이자 2019년 2분기(91.3%) 이후 약 3년 만에 최저치다.
초기분양률은 분양을 시작한 지 3개월 초과∼6개월 이하인 사업장의 총 분양 가구수 대비 계약 체결 가구수 비율을 일컫는다. 3분기 들어 서울 아파트 100가구 중 7가구는 초기 분양에 실패했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초기분양률은 2020년 1분기 100%를 달성한 뒤 지난해 2분기 한 차례 99.9%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곤 올해 2분기까지 100%를 유지해왔다. 2년 반 동안 이어진 '분양 완판' 기록이 3분기 들어 깨진 것이다.
수도권 아파트 초기분양률도 2분기 96.9%에서 3분기 93.1%로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초기분양률도 같은 기간 87.7%에서 82.3%로 하락했다.
시도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100%를 이어가던 부산 아파트는 올해 3분기 79.0%로 급락했다. 충북도 2분기 91.9%에서 3분기 77.1%로 하락했고, 전남도 같은 기간 94.9%에서 67.3%로 떨어졌다.
경북은 올해 2분기 71.1%에서 3분기 38.0%로 거의 반토막 났고, 제주도 같은 기간 99.4%에서 66.3%로 한 분기 만에 30%포인트 넘게 급락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