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 산단 혁신 종합대책 발표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혁신"

한국 경제의 산업화와 고도성장을 이끈 산업단지가 낡고 오래된 이미지를 벗고 디지털화, 저탄소화, 브랜드화 등으로 새롭게 무장하고 청년들의 창업공간 등으로 새롭게 변신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단지는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257개로 11만여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3%(1104조원), 수출의 66%(4024억달러), 고용의 47%(227만명)를 맡고 있다.
하지만 산업단지는 최근 산업시설·근로시설·근로인력이 함께 노후화하거나 늙어가는 '삼로(三老)' 현상과 함께 생산·고용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산업단지가 혁신적이고 역동적인 새로운 산업공간으로 전환하도록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스스로 변화해 나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혁신 대책은 산업단지의 디지털화, 저탄소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안전 강화, 입지 규제 혁신 등 5대 분야, 83개 정책 과제로 짜였다. 정부는 우선 산업단지 입주 기업의 94%가 50인 미만 중소기업인 점을 감안해 입주 기업의 디지털화 준비 수준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아울러 산업단지별 특성에 맞는 탄소 저감 전략을 추진한다. 산업단지 내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 사업 재편 지원, 자원의 재이용 촉진을 지원한다.
아울러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산업단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저렴한 창업공간 제공, 제조기업 매칭 지원, 청년 일자리 경험 프로그램 제공, 특화교육 실시 등을 적극 전개한다. 특히 산업단지가 보유한 고유의 가치를 활용해 '브랜드'를 조성하는 한편 미래형 융복합 공간 조성, 기초 인프라 확충과 정비, 탄력적 교통수단 도입, 복합문화센터 건립 등을 통해 근로 환경을 개선한다.
또한 산업단지 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정책 과제도 적극 추진한다.
산업부는 "산업단지마다 주요 업종과 기업 규모가 천차만별인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획일적인 재정 의존 방식의 정책만으로는 변화가 어렵다"며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방식으로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단지 관리 제도를 제로 베이스에서 전면 재검토해 시설 혁신에 민간 자본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 산업단지 용지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