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을 비롯한 자기 자산을 모두 팔아도 부채를 갚을 수 없는 '고위험 가구'가 38만여 가구로 집계됐다. 또한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69조4000억원으로 전체의 6.2%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10일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가계부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모두 38만1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 가운데 3.2%를 차지했다.
한은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고(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초과),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자산대비부채비율·DTA 100% 초과) 경우를 부실 가능성이 큰 '고위험 가구'로 분류한다.
고위험 가구보다 범위가 넓은 '취약 차주(대출자)'의 비중은 올해 2분기 말 현재 전체 대출자의 6.3%로 집계됐다. 취약 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대출자를 일컫는다.
지난해 말 6%였던 취약 차주의 비중이 커진 것은 최근 대출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저소득층 차주들은 금리인상에 따라 늘어난 이자를 감당할 수 없어 제2금융권, 3금융권으로부터 추가 대출을 받아 충당하기 때문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12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높아 고위험 가구와 취약 차주의 이자 부담에 따른 부실 위험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한 번의 빅스텝으로 0.5%포인트만 올라도 전체 대출자의 이자는 6조5000억원 불어난다. 이 중 3000억원이 취약차주가 더 내야 하는 이자 증가분이다. 1인당 이자 부담으로 보면 전체 대출자의 연간 이자는 평균 32만7000원 증가하는 가운데 취약차주는 25만9000원, 비취약차주가 33만2000원을 더 내야 한다.
한은이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 빅 스텝을 단행해 기준금리가 1.0%포인트 높아질 경우 불과 두 달 사이 이자는 13조원 급증하게 된다. 아울러 1.00%포인트 인상에 따른 취약차주의 이자 증가폭은 7000억원으로 불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