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신(新)환경경영 전략 발표…한종희 부회장"친환경 생태계 구축 가속화에 촉매 역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제조업체인 삼성전자가 초저전력 반도체와 전력이 덜 드는 전자제품 개발을 통해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한다. 최근 글로벌 'RE100(재생에너지 전기 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데 이어 사용전력의 100%를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탄소중립 달성을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15일 이런 내용의 신(新)환경경영 전략을 발표하고, 경영 패러다임을 '친환경 경영'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신환경경영 전략은 환경 문제는 선택적 지출이 아닌 필수 투자라는 인식을 담은 1992년 '삼성 환경선언' 이후 30년 만에 나왔다.
삼성전자는 "인류의 당면 과제인 기후위기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향한 도전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전력 사용량은 서울시 전체 가정용 전력 사용량(14.6TWh)의 1.76배인 25.8TWh로 글로벌 ICT 제조사 가운데 최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700여만t의 탄소를 배출했다.
삼성전자는 공정가스 저감, 폐전자제품 수거 및 재활용, 수자원 보존, 오염물질 최소화 등 환경경영 과제에 2030년까지 7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50년 직·간접 탄소 순배출을 제로(0)화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2030년 TV·가전 등의 DX(디바이스 경험) 부문부터 탄소중립을 우선 달성하고, 전력 소모가 많은 DS(반도체) 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을 목표로 최대한 조기 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혁신적인 초저전력 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 사용 단계에서 전력 사용을 줄이고, 원료부터 폐기까지 제품 전 생애에 걸쳐 자원순환을 극대화하기로 했다. 반도체는 초저전력 기술 확보를 통해 2025년 데이터센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PC, 모니터 등 7대 전자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소비량을 2019년 동일 성능 모델 대비 평균 30% 개선하기로 했다.
반도체 국내 사업장에 대한 '물 취수량 증가 제로(0)화'도 추진한다. 반도체 라인 증설로 인해 2030년 반도체 사업장의 하루 취수 필요량이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날 예정인데, 용수 재이용을 최대한 늘려 2021년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했다.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후위기 극복과 순환경제 구축은 기업, 정부, 시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우리 시대 최대의 도전"이라며 "삼성전자는 혁신기술과 제품을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