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몽골이 29일 외교장관회담에서 공급망을 포함한 경제안보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양국은 이르면 내년에 '희소금속 협력센터'를 설립한다.
외교부에 따르면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몽골 울란바토르 외교부 청사에서 바트뭉크 바트체첵 몽골 외교부 장관과 회담한 뒤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세계 10위권의 자원부국인 몽골은 한국의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파트너국"이라며 "첨단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희토류와 배터리용 희소 금속과 같은 몽골에 풍부한 광물과 자원이 한국의 인프라와 기술과 결합해서 상승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협력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바트체첵 장관도 회견에서 "몽골의 자원과 한국의 노하우, 선진 기술을 결합하는 방향에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양국은 '희소금속 협력센터' 설립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가시화할 희소금속 협력센터는 몽골 측이 부지를 제공하고 한국이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으로 시설을 짓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중국의 자원무기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몽골과의 경제안보 분야 협력 강화는 공급망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몽굴 양국은 광물자원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 및 교육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또한 "몽골은 우리와 민주주의와 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로, 한국과 몽골은 역내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연대하며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어 박 장관은 몽골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역내 다자기구 가입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바트체첵 장관은 "몽골과 한국은 민주주의, 인권, 자유, 시장경제 등 공동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서 "몽골, 한국, 미국의 3자회담을 개최하자는 몽골 측 구상에 한국이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한·몽 기후변화 협력 기본협정'에 가서명했다. 양국 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연구·기술교류·민간 투자 등 전반에 걸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양국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몽골의 '10억그루 나무심기 운동'에 동참하고 3단계 한·몽 그린벨트 조림사업을 추진해 몽골의 산림조림 및 사막화 방지에 적극 기여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양국의 황사와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은 한·몽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 협상과 투자보장협정 개정 협상도 가속화해 나가기로 했다. 박 장관은 한국 정부가 올해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대상으로 몽골 신공항 인근에 위치한 준모드시를 선정했다고 소개한 뒤 울란바토르 인구 분산을 모색하는 몽골과 인천 송도, 세종시 등 우리나라 경제자유구역 운영 및 정부 기관 이전 경험을 공유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