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경상수지가 7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이는 일시적 현상으로 전반적인 경상수지 흑자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다.
한은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6억6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월간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가 한창이던 2012년 4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이 줄어 경상수지가 적자를 나타냈다.
경상수지는 상품·서비스 수출입으로 발생하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급여·배당·이자 등에서 비롯되는 본원소득수지, 그리고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줄어든 게 4월 경상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이다. 수출 감소로 상품수지 흑자가 줄어든 것이다.
수출은 483억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6.2% 감소했다. 1∼4월 누적으로는 1천858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줄었다. 반도체 단가 하락이 수출액 감소의 주된 요인이다. 수입은 426억3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1∼4월 누적으로는 1천605억2천만달러로 5.3%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14억3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폭은 2016년 12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서비스수지 구성 항목 가운데 여행·운송수지가 개선된 덕분이다. 중국인·일본인을 중심으로 관광객 증가세가 지속돼 여행수입(17억달러)은 2014년 11월 이후 4년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흑자폭이 축소되고 서비스수지 적자가 계속된 가운데 본원소득수지가 큰 폭의 적자를 내면서 4월 경상수지 적자로 이어졌다. 본원소득수지는 43억3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56억2천만달러 적자)와 비교하면 적자폭은 줄었지만, 3월(7억4천만달러 적자)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 때문으로 분석된다. 배당소득수지는 49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18년 4월, 2017년 4월에 이어 역대 3번째 규모이다. 한은은 배당 시즌이 경과한 5월에는 경상수지 흑자 전환을 전망했다. 상품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일시적 요인(배당)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한은은 "매년 배당 시즌이 돌아오는 '계절성'을 제거하고 계산하면 4월에도 33억6천만달러 흑자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경상수지 흑자폭은 당초 전망치(상반기 245억달러, 하반기 420억달러)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1∼4월 누적 흑자가 106억달러에 머물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