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간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양국이 지난 1일을 기해 보복관세를 본격적으로 부과하며 전면전에 돌입하자 중국이 미국 대표 운송업체인 페덱스를 압박하고 희토류 카드를 언급하며 대반격에 나섰다. 또한 미국이 중국의 정보통신기업 화웨이를 벼랑 끝으로 몰면서 중국을 압박하자, 중국은 미국을 겨냥한 '블랙리스트 기업'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미중 양국이 보복의 악순환을 거듭하는 분위기다.
3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우정당국은 미국 운송업체 페덱스가 화웨이 화물의 목적지를 바꾸는 오류를 범하자 이례적으로 직접 나서 강한 불만을 표명하며 전면 조사에 나섰다.
민간 운송업체의 택배배달 오류 사안에 대해 중국 당국이 대대적으로 동원된 것은 처음이라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보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많다.
페덱스는 화웨이가 지난달 19∼20일 일본에서 중국 화웨이 사무실로 보낸 화물 2개를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페덱스 본부로 잘못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마쥔성 중국 우정국장은 2일 페덱스 사건과 관련해 "어떤 택배 기업이든지 중국 법을 지켜야 하며, 중국 기업과 사용자의 합법적인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달 31일 자국 기업의 권익을 침해한 외국 기업에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미국을 겨냥한 것임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지침을 공개했다. 즈류쉰 중국 상무부 안보 및 관제국장은 블랙리스트 지정 요건으로 중국 업체를 봉쇄하거나 부품 공급을 중단 또는 차별하는 외국 기업 및 조직, 개인을 지칭했다. 이어 중국 기업 또는 관련 사업에 실질적 손해를 끼쳤는지와 중국의 국가 안보 위협 및 잠재적 위협 초래 등을 고려하기로 해 사실상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이밖에도 중국은 미국의 아킬레스건인 희토류의 수출을 제한해 미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왕서우원 상무부 부부장은 "중국에서 수출한 희토류로 만든 제품을 가지고 중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미국을 정조준했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제된 형태의 희토류는 비중이 더 높다. 미국은 첨단 전자제품과 군사 장비 등에 쓰이는 희토류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또 최근 미국의 규정 강화로 인해 미국 비자를 신청하는 중국인들은 지난 5년 동안 어떠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했는지 등에 관한 명세를 제출하게 되어 있어 중국 네티즌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판 트워터 격인 웨이보 등에 "미국인이 중국 들어올 때도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모든 걸 제출하도록 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항의성 댓글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