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수석 부총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식량값 상승으로 큰 타격"

세계적으로 식량위기 가능성이 커지면서 보호무역주의가 촉발돼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경제 전문 로이터통신의 24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세계적인 정·재계 인사들은 식량위기와 관련된 보호무역주의 사례로 인도의 설탕과 인도네시아의 팜유 수출 금지 사태를 거론하며 무역전쟁이 야기될 수 있다고 염려했다.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브라질에 이어 세계 2위의 수출국인 인도는 이날 자국 사정을 이유로 올해 설탕 수출량을 1000만t으로 제한했다. 6∼10월에는 설탕을 해외로 반출할 경우 전량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조치했다.
인도가 설탕 수출을 제한한 것은 6년 만에 처음이다. 이는 국내 설탕 가격 상승을 미리 차단하려는 조치로 분석된다. 하지만 인도의 수출 제한 조치 발표 직후 백설탕 가격이 1% 이상 오르는 등 세계적인 설탕 부족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세계 팜유 생산량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식용유 수출국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28일부터 팜유 원유와 관련 상품 수출을 금지했다. 이로써 세계적으로 식용유 부족 파동을 야기했다가 이달 23일 수출을 재개했다.
기타 고피나트 국제통화기금(IMF) 수석부총재는 "지나간 문제보다 앞으로 올 문제가 훨씬 크다"며 식량안보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전체 소비의 40%가 식량 구매"라며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이 아프리카 국가 국민 생활의 큰 타격으로 이어지고 각국 정부의 사재기를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다보스 포럼에서 보호무역주의 대두와 이로 인한 무역전쟁을 피하기 위해 긴급 협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전했다. 흑해 봉쇄로 우크라이나 식량 수출을 중단시키는 등 '식량 무기화'를 시도하는 러시아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데이비드 비즐리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확기인 7∼8월이 다가오는데 (러시아가) 가장 가까운 항구를 폐쇄한 것은 세계 식량 공급에 대한 전쟁 선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에도 이미 보기 드문 식량위기를 맞이하고 있었다"며 "식비, 원자재 가격, 운송 비용이 이미 두 배, 세 배, 네 배로 올랐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기아 위기에 놓인 인구가 지난 4∼5년 동안 8000만명에서 2억7600만명으로 급증했다고 비즐리 사무총장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