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등과 소통…"세계경제가 빠르게 변해 '중책 적임' 검증 받을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세계 경제를 둘러싼 위험 변수로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사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 둔화 등 3가지를 꼽았다. 이창용 후보자는 우려되는 주요 경제 리스크(위험)가 모두 현실이 된 만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맞춘 통화정책 방향 등을 금융통화위원, 한은 임직원들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30일 오후 비행기편으로 귀국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낸 보고서에 담긴 경기하방 요인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우크라이나 사태,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등의 경제 회복 속도가 더뎌질지 등의 리스크였다"며 "이런 리스크가 있으면 정책을 결정하기 쉽지 않은데 그 세 가지 리스크가 모두 실현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 2월까지의 한은의 결정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으로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새로운 변화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금융통화위원들과 한은 전문가들과 얘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이 지난해 11월에 이은 올 1월 금리인상과 2월 경제전망(올해 경제성장률 3% 제시) 등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내비친 것이다. 국제유가와 곡물, 원자재 가격 급등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고려하지 않은 만큼 앞으로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조절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 후보자는 한은 총재 지명 소감에 대해 "지금 전 세계 경제 여건이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책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며 "청문회를 통해 이 중책에 적임한지 검증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