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부채 1년여새 13조원 늘어 72조원…저축銀 부담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동성 위험에 처한 자영업 가구가 27만 가구, 이들 자영업 가구가 금융기관에서 빌린 부채는 72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4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의 '자영업 가구 대출의 잠재적 부실 현황 및 시사점' 분석에서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를 기반으로 이같이 추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 중 적자가구는 약 78만 가구로 전체 자영업 가구의 16.7%로 집계됐다. 이들 적자가구의 금융부채는 총 177조원으로 전체 자영업 가구 금융부채의 36.2%를 차지했다.
한은은 적자 자영업 가구 중 특히 유동성 자산으로 적자를 감내할 수 있는 기간이 1년에 못 미치는 '유동성 위험가구'에 주목했다. 한은이 추정한 유동성 위험가구는 지난해 말 현재 27만 가구로 2020년 3월 대비 1년 9개월 사이 1만 가구가 늘어났다. 이들 가구의 금융부채는 2020년 3월 대비 13조원 늘어난 7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자영업 가구 금융부채의 14.6%에 해당한다.
유동성 위험가구는 2021년 들어 도소매 및 운송업에서 줄었지만,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매출 회복세가 더딘 숙박음식·교육업에선 증가하고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정부가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9월까지 일괄 연장한 가운데 올해 경기상황 변동에 따라 유동성 위험가구 금융부채가 지난해 말 대비 1조∼10조원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적자가구의 금융부채는 낙관적 경기회복을 가정할 때 올해 1조원 감소할 수 있지만, 경기가 부진할 경우에는 18조원 증가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은은 "비은행금융기관 가운데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대면 업종의 대출 비중이 높아 부실화 우려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