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부터 눈비 오지 않아…텍사주 3분2도 심각한 가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밀 등 세계 식량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세계 2위 밀 수출국인 미국마저 가뭄으로 흉작이 예상되면서 식량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제 전문 로이터통신의 14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최대 밀 생산지인 캔자스주 남서부 지역에는 지난해 10월부터 눈도, 비도 거의 오지 않고 있다.
겨울 밀은 가을에 파종해 이듬해 봄에 싹을 틔운다. 이 시기 토양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겨울 밀 작황의 관건이다. 비료에 포함된 영양분이 밀 뿌리로 전달되려면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립가뭄경감센터(NDMC)에 따르면 3월 8일 현재 캔자스주 절반 이상이 '심한 가뭄'(Severe Drought) 또는 이보다 더 나쁜 상태로 분류됐다. 또 다른 밀 생산지인 오클라호마주도 4분의 3 가량이, 텍사스주는 3분의 2 이상이 '심한 가뭄' 상태다.
국립가뭄경감센터는 가뭄 상태를 '비정상적 건조'(Abnormally Dry)부터 '매우 극심한 가뭄'(Exceptional Drought)까지 5단계로 나눈다. 이 중 심한 가뭄은 세 번째에 해당한다. 지난해 겨울 폭풍으로 미국 밀 주산지의 표토가 휩쓸려 날아가 표토에 함유된 영양분이 손실된 상황에서 물 부족 문제가 겹쳤다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제빵용 강력분에 쓰이는 경질 적색 겨울 밀은 미국 전체 밀 생산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 밀의 생산이 감소하면 식료품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 밀 수출량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4%로 러시아(약 18%)에 이어 세계 2위다. 이어 캐나다(약 14%), 프랑스(약 10%), 우크라이나(약 8%)가 3∼5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