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 소비의 12.86%가 '식비' … 식료품과 외식비 오른 탓
현대경제연 "불확실성 커 불필요한 소비 줄이고 필수소비 많아져"
현대경제연 "불확실성 커 불필요한 소비 줄이고 필수소비 많아져"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식료품 가격과 외식비가 급등한 여파로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지출에서 식비나 주거비 등 필수 소비의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계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지출 비용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계수'는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일 내놓은 '2021년 국민계정으로 살펴본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엥겔계수는 12.86%로 2020년(12.85%)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1년 전인 2000년 13.29%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통상 경제발전 단계가 높아지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기본적인 생존과 관련된 의식주 지출 비중은 감소하고, 문화, 레저, 교육 등 비필수 소비의 비중이 높아진다. 그런데 2020년부터 코로나19발 경제위기가 장기화하며 기본적 생계유지를 위한 소비 지출 비중이 커진 것이다.
전체 소비지출에서 임대료 및 수도 광열 지출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슈바베 계수'도 높아졌다. 지난해 슈바베 계수는 17.94%로 2020년(18.56%)보다 소폭 낮아졌지만, 2020년을 제외하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집값 급등과 전·월세 비용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속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며 가계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수 소비 비중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