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대출 금리는 5.28%로 뛰어 7년 4개월만의 최고치
한은,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발표…수신금리는 내려

은행권의 지난 1월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8개월 연속 오르며 8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대출 금리는 오르고 예금 금리는 일제히 내려 예대금리차가 더욱 크게 벌어졌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에 따르면 1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85%로 지난해 12월(3.63%)보다 0.22%포인트 상승했다. 2013년 4월(3.8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6월부터 계속 올랐다. 올해 1월까지 8개월 사이 1.11%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금리도 한 달 새 0.16%포인트 올라 5.28%에 이르렀다. 2014년 9월(5.29%) 이후 최고치다. 이에 따른 전체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연 3.91%로 집계됐다. 전월(3.66%)보다 0.25%포인트 오른 것으로 2014년 7월(3.9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장단기 지표금리가 오르고 중금리 대출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가계대출 금리가 상승했다"라고 설명했다.
기업 대출금리(연 3.30%)는 전월보다 0.16%포인트 올랐다. 개인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여신(대출) 금리가 오른 반면 수신(예금 등) 금리는 일제히 내렸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과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 시장형 금융상품의 금리는 각각 연 1.64%, 1.68%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0.14%포인트씩 떨어졌다. 따라서 예금은행의 전체 저축성 수신 금리(연 1.65%)도 0.05%포인트 내렸다.
이로써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대출 금리-저축성수신 금리)는 지난해 12월 1.55%포인트에서 1.80%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한 달 새 0.25%포인트 이상 격차가 커진 것은 2013년 1월(0.26%포인트) 이후 처음이다.
잔액 기준으로 총수신 금리(0.88%)와 총대출 금리(3.12%)는 전월보다 각각 0.05%포인트, 0.08%포인트 올랐다. 그 결과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0.03%포인트 확대된 2.24%포인트로, 2019년 7월(2.24%p) 이후 2년 6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