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 수출액 2억달러 돌파…SM은 첫 이익배당 이사회 결의

코로나19 사태 와중에도 K-팝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하이브, SM, YG 등 주요 가요기획사들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냈다.
금융위원회 전자공시시스템과 가요기획사 발표에 따르면 하이브는 그룹 방탄소년단의 음반 판매 호조와 미국 로스앤젤레스 콘서트 흥행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58.0% 증가한 1조2577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903억원으로 30.8% 증가했다.
하이브가 연매출 1조원을 넘긴 것은 처음이고, 국내 가요기획사를 통틀어서도 최초다.
NCT와 에스파 등 인기 그룹이 포진한 SM엔터테인먼트의 지난해 매출은 7015억원으로 전년 대비 21.0% 늘었다. SM엔터테인먼트 자체 최대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685억원으로 954.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234억원으로 전년도 적자(-803억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음반 판매 호조에 따라 실적 개선이 이뤄졌다"며 "본업 실적 개선과 더불어 주요 종속회사들의 적자가 축소돼 실적 턴어라운드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1762만여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려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했다. 이에 따라 SM엔터테인먼트는 창사 이래 최초로 주당 200원의 배당을 이사회에서 결의했다.
빅뱅과 블랙핑크 등이 소속된 YG엔터테인먼트도 지난해 매출 3556억원, 영업이익이 506억원으로 각각 39.3%, 370.4% 증가했다.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이다.
YG엔터테인먼트는 "소속 아티스트의 활동이 활발했고 주요 종속회사의 손익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YG엔터테인먼트에선 지난해 블랙핑크의 로제와 리사가 솔로로 데뷔해 인기를 끌었다.
가요계는 코로나19 사태로 공연이 불가능해지자 팬들의 지갑이 음반 구매로 몰린 점이 가요 기획사의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방탄소년단, NCT, 블랙핑크 등을 필두로 K팝 한류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린 점도 작용했다.
지난해 K팝 음반 판매량은 가온차트 1∼400위 기준 5709만장으로 전년 대비 36.9% 늘어났다. K팝 음반 수출액도 2억2083만6000달러(약 2641억원)로 62.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