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립해양조사원의 조사결과 최근 10년간 상승속도 빨라져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인한 전 지구적 걱정거리인 해수면 상승 피해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실증적 자료가 또 공개됐다.
20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지난 30년(1991년~2020년) 동안 우리나라 전 연안의 해수면이 평균 9.1cm 가량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30년에 걸쳐 전국 해수면이 해마다 평균 3.03mm씩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1990년대보다 최근 10년의 연평균 해수면 상승 폭이 12.4% 커져 최근 들어 해수면 상승 속도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30년간 해역별 해수면 상승 폭은 동해안(연평균 3.71mm)이 가장 컸고 이어서 서해안(3.07mm), 남해안(2.61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는 울릉도가 연평균 6.17mm로 가장 컸으며 이어 포항(3.99㎜)과 보령(3.38㎜), 인천(3.31㎜), 속초(3.17㎜) 등이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해양조사원은 지난 30년 이상 축적된 전국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관측자료를 분석해 위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장기 변동 연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해양조사원은 해수면 장기 변동 추세 파악을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수면 상승 결과치를 발표해 왔다. '해수면 상승'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주요 7대 지표 중 하나다. 특히 올해는 데이터처리 방식을 개선·적용한 자료를 바탕으로 1991~2020년 30년간 21개 연안 조위관측소별 해수면 상승 폭을 재계산해 발표했다.

최근 30년 동안의 시기별 연평균 해수면 상승 폭은 1991~2000년 10년간은 연평균 3.80mm, 2001~2010년 10년간은 연평균 0.13mm, 2011~2020년(최근 10년간)에는 연평균 4.27mm로 각각 조사됐다. 1990년대에 비해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해수면 상승 폭이 12.4% 증가한 것으로 밝혀져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지난 8월 유엔 산하 협의체인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실무그룹은 1971~2006년 사이 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연 1.9mm씩, 2006~2018년 사이엔 연 3.7mm씩 상승했다는 내용이 담긴 일련의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IPCC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 평가 및 국제적 대책 마련을 주요 임무로 하고 있다.
위 IPCC 보고서 내용과 비교할 경우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상승 폭은 1971~2006년 사이 연평균 2.2mm로 전 지구 평균치보다 소폭 컸다. 하지만 2006~2018년 사이엔 연평균 3.6mm로 전 지구 연평균과 거의 비슷했다. 이런 결과는 우리나라가 전 지구적 해수면 평균 상승 폭과 비슷하게 가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내외에 걸쳐 해수면 상승 피해는 착착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인구 1만2000명의 태평양 섬나라 투발루는 50년 이내에 나라 전체가 수몰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최근 외신은 국제도시인 미국 뉴욕시가 해수면 상승 피해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14억5000만 달러(약 1조7000억 원)를 들여 뉴욕 로어 맨해튼 지역 약 4㎞ 해안선을 따라 높이 5m의 방파제를 2026년까지 건설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도 부산, 인천, 제주를 비롯한 많은 연안 도시들이 미래 해수면 상승 피해 우려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 해양조사원 측은 "기후 위기 시대에 전국 연안에 대한 선제적 관리와 위기 대응을 위해 해수면 상승 현황을 계속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며 "해수면 자료 분석과 더불어 미래 해수면 변동 연구도 적극 수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양조사원은 내년 상반기에 전국 연안의 21개 조위관측소가 30년 이상에 걸쳐 축적해 온 해수면 관측자료와 관련 분석 정보를 누리집(바다누리 해양정보)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