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또는 출산불구 직업을 유지한 여성은 전체의 40% 그쳐

소설 '82년생 김지영'처럼 1983년생 기혼 여성 가운데 4명 중 1명꼴로 출산과 함께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983년생과 1988년생을 중심으로 분석한 '인구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를 14일 발표했다. 통계청 분석에 따르면 1983년에 태어난 기혼 여성 가운데 출산을 기점으로 직업을 잃은 사람은 2019년 기준 전체의 25.5%였다. 1983년생 기혼 여성 4명 중 1명은 자의든 타의든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겪은 것이다.
결혼 시와 출산 시 모두 직업을 유지한 여성은 전체의 39.6%였다. 또한 결혼 당시에도 직업이 없었던 여성이 31.0%, 결혼할 때는 직업이 없었는데 출산 시 직업을 가진 여성이 4.0%였다. 1983년생 남성의 경우 93.0%가 결혼이나 출산과 관계없이 직업을 유지했다.
1988년생 여성 가운데 결혼과 출산 당시 모두 직업을 유지한 경우는 43.3%로 1988년생보다 높았지만, 여전히 5명 중 1명(22.2%)은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을 겪었다.

국내에 거주하는 1983년생 가운데 기혼자는 66.9%로 집계됐다. 이들 중 대부분인 82.9%는 자녀를 출산했는데, 자녀를 2명 이상 출산한 경우(45.0%)가 가장 많았다.
반면 1988년생 중 기혼자는 36.9%에 불과했다. 결혼한 1988년생 중 자녀를 출산한 비중(61.4%)도 1983년생보다 낮았고, 출산했어도 자녀를 1명만 낳은 경우(39.3%)가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내려갈수록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1인 가구도 많았다. 1983년생 가운데 부모나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1인 가구는 13.7%인 반면 1988년생은 20.1%가 1인 가구였다.
1983년생 가운데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28.8%, 나머지 71.2%는 무주택자였다. 거주 형태는 아파트가 63.7%로 압도적이었다. 1988년생의 경우 유주택자는 13.6%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