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반입금지 시책에 "토네이도 경보문자 못 봐 피해키워"논란 일어

미국 중부지방을 강타한 토네이도로 아마존 물류창고 직원들이 희생되면서 아마존의 작업장 내 휴대전화 반입금지 정책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뉴욕타임스 등 외신들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마존의 작업장 내 휴대전화 반입금지 정책이 현장 노동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면서 "특히 일리노이주 물류창고 붕괴 사고가 논란을 확산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리노이주 세인트루이스 인근 에드워즈빌의 아마존 물류창고가 이번 토네이도로 무너지면서 최소 6명의 직원이 사망하고 다수 직원이 실종됐다. 희생자들은 대부분 창고에서 물품을 차량으로 옮겨 배달하는 배송기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은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에 필요하다며 작업장 내 휴대전화 반입을 금지해왔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휴대전화 반입금지 정책을 중단했다가 최근 다시 휴대전화 반입 금지 사업장을 늘려가고 있었다.
아마존 직원들은 "미국 기상당국이 에드워즈빌 물류창고 붕괴 30분 전에 토네이도 접근 경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달했다"면서 "휴대전화 반입 금지 정책이 직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붕괴한 물류창고 인근 시설에서 근무했던 직원들은 토네이도를 피해 건물 내 화장실로 대피했지만, 동료들이 사망한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정전으로 정보교환이 불가능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앞서 2018년에도 볼티모어 아마존 물류창고가 폭풍으로 부분 파손되면서 직원 2명이 사망했다. 물류창고 내 휴대전화 반입금지 정책은 우리나라 쿠팡도 채택하는 정책으로 지난 6월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를 계기로 논란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