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오전 11시 20분쯤부터 KT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1시간 넘게 장애가 발생해 가입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KT 통신망을 이용하는 기업·학교·음식점 등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카카오톡을 비롯한 메신저와 화상회의·게임 서비스, 결제 앱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정오 무렵까지 약 40분간은 서비스 대부분이 마비됐다. 낮 12시 45분쯤 인터넷 대부분이 복구됐지만, 1시간 넘게 인터넷망이 마비됨으로써 줌 등 온라인 회의 플랫폼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강의도 '온라인 결석'과 '휴강'이 속출했다. 학교나 교수·교사 등이 KT망을 쓸 경우 휴강을 해야 했고, 수강생이 KT 가입자인 경우는 수업을 제대로 듣지 못했다.
카카오톡 메신저나 네이버웍스 등 업무용 메신저를 이용하는 기업에서도 KT 가입자들의 회의 참여와 업무 연락이 원활하지 않았다. 특히 인터넷 장애 발생 시간이 점심시간과 겹치는 바람에 음식점 QR 체크인이나 결제 앱 이용에 어려움을 겪은 고객들도 많았다.
적지 않은 식당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음식점들은 KT 매장결제단말(POS)이 먹통이 되자 손님에게 현금 결제를 요구했다. 또한 KT 통신망을 이용해 증권거래를 하거나 카카오페이를 이용해 계좌이체를 하다가 끊겨 당황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았다.
KT는 네트워크 장애의 원인이 대규모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라고 밝혔다가 뒤늦게 '라우팅 오류'(네트워크 경로 설정 오류)였다는 설명을 내놓아 이번 사고가 예방 가능한 인재였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후 1시 30분쯤 "KT 통신장애는 단순 서비스 장애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KT는 오후 2시쯤 다시 입장문을 내고 디도스가 아닌 내부 오류 때문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KT는 "초기에는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해 디도스로 추정했으나 면밀히 확인한 결과 라우팅 오류를 원인으로 파악했다"며 "정부와 함께 더욱 구체적 사안을 조사하고 파악되는 대로 추가로 설명하겠다"고 했다.
라우팅이란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거쳐서 가도록 할지를 정하는 것이다. 코어망과 전송망, 액세스망 등 네트워크의 중앙부에서 가입자까지 경로를 어떻게 연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통신사들은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망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