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코로나 대유행 직격탄 맞은 자영업 '빈사상태'
도소매업은 18만6000명 줄며 감소 폭 더욱 커져
도소매업은 18만6000명 줄며 감소 폭 더욱 커져

7월 중 전 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54만명 늘었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 여파로 음식·숙박업과 도소매업 등 자영업 취업자는 감소폭이 더 커졌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고용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8월에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764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54만2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폭은 4월(65만2000명) 이후 5월(61만9000명)과 6월(58만2000명)에 이어 석 달 연속 둔화했으나 3월(31만4000명) 이후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문제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따른 강력한 방역 조치 여파로 자영업 비중이 큰 업종에서 고용이 다시 악화하기 시작한 점이다. 지난 4월부터 석 달 연속 증가했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1만2000명 줄어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18만6000명 감소하며 전월(-16만4000명)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이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된 여파로 분석된다. 7월 고용동향 조사기간은 11일부터 17일까지로 당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는 수도권의 경우 4단계, 비수도권은 2단계로 각각 강화되면서 대면 서비스업 고용이 타격을 받았다.
그로기 상태였던 자영업자들이 경기회복 분위기를 막 느끼기 시작할 무렵 다시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했다. 그 여파로 8월부터 숙박·음식점 등 취약업종에서 시작된 고용시장 악화가 다른 부분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