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2% 떨어져 … 4분기 만에 감소 전환
韓銀이 전망한 ' 4%성장 ' 하반기에 달려

2분기 경제가 민간소비 회복에 힘입어 0.7% 성장했다. 올해 연간 4% 성장률이 가능할지 여부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3분기 성장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좌우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27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2분기(0.7%)까지 4개 분기 연속 플러스(+)다.
한은은 1분기까지의 경기 회복 흐름을 바탕으로 5월 말 올해 성장률 전망을 3.0%에서 4.0%로 올려 잡았다. 한은 분석대로라면 2∼4분기에 분기별 성장률이 0.6%대 후반이면 연간 4% 성장이 가능하다. 결국 연간 4% 성장 달성 여부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3분기 성장률이 얼마나 타격을 받을지가 좌우할 전망이다.
2분기에는 민간소비 회복이 두드러졌다. 의류 등 준내구재와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 소비가 늘면서 3.5% 증가했다. 이는 2009년 2분기(3.6%) 이후 12년 만에 가장 증가한 것이다. 올해 1분기(1.2%)와 비교해 회복세가 더욱 뚜렷해졌다.
하지만 수출은 자동차, LCD(액정표시장치) 등을 중심으로 2.0% 감소했다. 수출은 지난해 3분기(16.3%), 4분기(5.3%)와 올해 1분기(2.0%)를 거치면서 기저효과 등이 사라지며 증가율이 점차 낮아지더니 2분기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건설투자도 건물·토목 건설이 모두 줄면서 2.5%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 등이 감소로 전환한 가운데 서비스업 증가폭이 확대됐다. 서비스업은 운수업과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이 늘면서 1.9% 증가했다. 서비스업을 제외한 농림어업(-13.6%), 제조업(-1.2%), 전기가스수도사업(-3.5%), 건설업(-1.4%) 등은 부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