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과 가계부채 증가 관리 언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는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등 '금융 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4일 물가안정 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계는 현재 0.50%인 기준금리가 오는 10월께 0.25%포인트 인상에 이어 내년 초 다시 0.25%포인트 오를 것으로 관측한다.
이주열 총재의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발언 강도는 최근 갈수록 세졌다. 이 총재는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는 모호한 표현으로 연내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어 지난 11일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를 통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하면서도 "하반기 이후 역점사항"이라고만 했을 뿐 구체적 시점을 밝히진 않았다. 그런데 24일 이 총재는 결국 '연내'라는 시점을 밝히며 기준금리 인상 메시지를 시장에 더 분명하고 강하게 전달했다.
이주열 총재는 한은이 22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밝힌 대로 완화적 통화정책의 정상화, 즉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로 '물가'보다 자산가격 상승과 가계대출 급증 등 '금융 불균형' 위험에 더 무게를 두었다.
이 총재는 "최근 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고, 가계부채도 여전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이 그야말로 누적되고 있는데, 통화정책을 여기에 유의해서 조정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27일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결정 회의에서 7명의 위원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나 회의 과정에서 상당수 위원들이 완화적인 통화정책과 낮은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