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대 그룹 계열 상장사의 등기임원이 받은 연봉은 일반 직원의 평균 13.6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이 자산 상위 10대 그룹 계열 94개 상장사의 2018 회계연도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보수급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제외한 등기임원 301명의 평균 연봉은 11억4400만원이었다.
이번에 처음으로 보수를 공개한 미등기 임원 4676명의 연봉은 평균 4억1200만원으로 집계됐다. 미등기 임원을 제외한 부장급 이하 일반 직원 62만9926명의 연봉은 평균 8400만원이었다. 결국 등기임원의 연봉은 일반 직원의 13.6배, 미등기 임원의 2.8배로 나타났다. 또 미등기 임원의 연봉은 평직원의 4.8배 수준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 등기임원과 일반 직원의 연봉이 각각 21억4400만원과 9800만원으로 등기임원이 일반 직원의 21.9배를 받았다. 삼성그룹 등기임원과 일반 직원의 연봉 격차는 10대 그룹 중 가장 컸다.
LG그룹이 17.3배로 등기임원과 일반 직원 간 연봉 격차가 두 번째로 컸다. 이어 GS(17.2배), 현대차(16.4배), 롯데(14.3배), 현대중공업(12.8배), SK(9.9배), 포스코(8.4배), 한화(6.6배), 농협(2.3배) 그룹의 순서다.
상장사별로는 삼성전자의 등기임원(57억5800만원)이 일반 직원(1억900만원)의 52.6배를 받아 등기임원과 일반 직원 간 연봉 격차가 가장 컸다. 삼성바이오로직스(42.3배), ㈜LG(39.7배), SK네트웍스(39배), ㈜SK(38.9배), 호텔신라(37.4배), 삼성생명(35.3배), 삼성증권(35.2배), 현대차(32.8배), 현대제철(32배) 등도 연봉 격차가 30배를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