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경기도 광명 시흥지구를 3기 신도시로 지정해 7만 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4.3배 규모로 3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크다. 1기 일산 신도시(6만9000여 가구)와 비슷한 규모다.
부산과 광주에도 중규모 택지가 조성된다. 부산 대저지구에 1만 8000가구, 광주 산정지구에 1만 3000가구 규모의 미니 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광명 시흥지구를 포함한 3곳을 합하면 공급 규모는 10만여 가구에 이른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의 신규 공공 택지 추진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는 2·4 공급 대책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앞서 정부는 3기 신도시 17만 3000가구 공급안을 발표했는데 공급 부족 우려가 나오자 사실상 '4기 신도시'와 다름없는 공급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광명 시흥 지구는 광명시 광명동·옥길동, 시흥시 과림동 일대 1271만㎡ 부지에 7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한다. 6번째 3기 신도시로 조성되는 광명 시흥지구는 면적이 서울 여의도의 4.3배로 지금까지 나온 3기 신도시 중 가장 크다.
광명 시흥 지구는 수도권 서남부 거점도시로 개발된다. 정부는 광명 시흥 신도시에 서울 여의도 면적의 1.3배(380만㎡) 규모의 공원·녹지와 수변공원을 조성하는 등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대규모 인구 유입에 대비해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남북을 관통하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 지하철 1·2·7호선, 신안산선과 연결하기로 했다.
부산 대저지구(243만㎡)는 부산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 주택 1만8000가구를 공급한다.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된 자족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배후 주거지를 공급하고, 연구개발특구 연접 지역에 15만㎡ 규모의 자족용지도 배치해 특구 기능을 높인다.
62만㎡ 규모의 공원과 녹지를 조성해 낙동강과 연계한 녹지축을 구축한다. 지구 내에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신설해 부산 도심이나 김해 방면 이동을 편리하게 돕기로 했다.
광주 산정지구(168만㎡)는 광주시 광산구 산정동·장수동 일대에 택지를 조성해 주택 1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빛그린산단 등 근로자를 위한 주거를 공급하고, 스마트 물류와 청년창업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