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유지했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0.2%포인트 높은 2.8% 성장을 예상했다. 이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한국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IMF는 9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IMF는 지난해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선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종전보다 0.3%포인트 하향 조정했었다.
IMF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유지했지만, 최근 중국의 경기둔화, 무역긴장 지속, 유로존의 모멘텀 약화와 신흥시장 취약성 등을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지난 1월 전망했던 3.5%에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MF는 지난해 7월까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9%로 유지하다가 지난해 10월 3.7%, 올해 1월 3.5%로 0.2%포인트씩 낮춘 바 있다. 9개월 사이 세 번째 하향 조정이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한다면 2016년 3.3%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다.
IMF는 무역긴장, 금융긴축 촉발 요인, 정치적 불확실성 등 하방으로 기울어진 리스크를 감안할 때 추가적인 전망 하향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영국이 아무런 합의 없이 유럽연합(EU)을 떠나는 노딜 브렉시트, 이탈리아의 재정위기, 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을 금융긴축 촉발 요인으로 꼽았다.
IMF는 보고서에 한국에 대한 개별적인 정책 권고는 담지 않았다. 다만 경제상황 악화 시 보다 확장적인 재정·통화 정책 또는 긴축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MF가 세계 경제성장률을 대폭 하향 조정하면서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한 것은 추가경정예산안 등을 통한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IMF 연례협의 한국 미션단은 지난달 한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2.6∼2.7%)를 달성하려면 약 9조원 규모의 추경예산안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 바 있다. 또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지난 2일 미세먼지 대책에 필요한 재원 마련과 선제적 경기 대응을 위한 추경예산을 편성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