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2018년 고용동향' 발표…"낮은 임금 일자리 비중은 높아져
지난해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청와대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하고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일자리 창출을 독려했지만 성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일 발표한 '2018년 고용 동향' 자료에서 전체 고용률이 전년 대비 0.1%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고용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후반기인 2009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의 비율을 말한다. 실업률과 달리 취업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도 포함해 산출된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생산가능인구가 25만2000명 증가한 데 비해 취업자는 9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경연은 "생산가능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해도 작년의 취업자 수는 이례적으로 적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인구 비중이 큰 40대 고용률이 0.4%포인트, 50대 고용률이 0.1%포인트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40·50대 고용률이 동시에 떨어진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40∼50대는 15세 이상 인구의 38.2%를 차지하고 소비지출도 평균보다 20% 이상 많은 경제활동의 주축이다. 4040세대와 달리 20대 고용률은 0.3%포인트, 30대 고용률은 0.4%포인트 높아졌다.
학력 기준으로 보면 고졸 인구의 고용률이 0.7%포인트 하락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고졸 취업자 수는 16만7000명 줄어들어 2010년 이후 처음 감소했다.한경연은 늘어난 취업자들 가운데 저임금 노동자의 비중이 높은 점을 들어 일자리의 질적 측면에 대한 우려도 제기했다. 개별 산업의 평균 임금이 전체 평균 임금보다 낮은 저임금 산업이 취업자 증가분의 69.7%를 차지한다는 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