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천200억원 … 에탄 생산늘면 추가 수주도 기대

국내 조선사가 아시아 지역 선사로부터 초대형 에탄운반선(VLEC)을 2척씩 나란히 수주하는 쾌거를 올렸다.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생산되는 에탄 수출이 늘어나면 추가 발주가 기대되는 분야여서 국내 조선업계에 단비가 될 전망이다.
한국조선해양은 아시아 소재 선주사와 9만8천㎥급 초대형 에탄운반선 2척의 건조 계약을 했다고 25일 공시했다. 계약 규모는 2억2천만달러(2612억원 상당)다.
이번에 수주한 에탄운반선은 올해 세계에서 처음 발주된 것으로 길이 230m, 폭 36.6m, 높이 22.8m 규모다.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해 2022년 상반기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에는 동급 선박 1척 옵션이 포함돼 있어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고 한국조선해양은 밝혔다. 삼성중공업도 아시아 지역 선사로부터 초대형 에탄 운반선(VLEC) 2척을 약 2억2천만달러( 2620억원 상당)에 수주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에탄운반선은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생산된 에탄을 수출하기 위해 고안됐다. 에탄(ethane)을 액화해 화물창 내 온도를 영하 94도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운반하는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함께 고도의 건조 기술과 노하우가 요구된다.
에탄은 천연가스 등에서 추출되며 납사(나프타)와 함께 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원재료다. 셰일가스의 주성분은 메탄과 에탄, 프로판 등으로 메탄 90%, 에탄 5%, 프로판 2% 정도의 비율로 생산된다.
에틸렌은 에탄을 열분해해 제조할 수 있다. 납사에서 제조하는 기존 방식보다 원재료비가 저렴해 석유화학업체들이 에탄 분해설비 사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추가 발주가 기대되는 분야라고 삼성중공업은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은 2014년 세계 최초로 VLEC 6척을 수주해 인도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건조 계약을 포함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발주된 VLEC 18척 가운데 11척(61%)을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은 "VLEC는 향후 미국, 노르웨이 등 에탄 수출국이 생산량을 늘릴 경우 추가 발주가 기대되는 시장"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과 건조 경험을 바탕으로 우월적 시장 지위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셔틀탱커 3척,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 등 총 7척, 7억 달러의 수주 실적을 올렸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수주로 동급 에탄운반선 5척을 건조하게 됐다. 한국조선해양의 경우 지난 20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선사인 바흐리사에서 PC선 10척을 4억1천만달러에 수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