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부동산시장 자금쏠림현상 주시"

한국은행의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성장률 전망치가 상당 폭 하향 조정돼 –1.0% 아래로 내려갈 것으로 관측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4일 국회 기획재정위 업무보고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국내 경제가 크게 악화했다가 수출·소비 부진이 완화되면서 다소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향후 경제 흐름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주열 총재는 "코로나19의 국내 감염이 다시 확산하면서 국내 경제 회복세가 약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공개될 한은의 올해 경제성장률 수정 전망치도 상당 폭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는 "27일 올해 성장률을 –1% 수준으로 낮추느냐"는 의원의 질의에 "지난번(5월)에 –0.2%였는데, 큰 폭으로 낮춰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다른 의원의 성장률 수정 관련 질문에도 "경제 하방 리스크가 커졌다. 국내 코로나 확산 조짐이 나타났고, 그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높여가는 상황"이라며 "이는 경제에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고, 성장률 전망도 상당 폭 낮추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크게 위축됐다가 5월 이후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면서 부진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향후 세계경제는 각국의 경제활동 재개 양상에 따라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완만하게 회복되겠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앞으로도 한은은 국내 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코로나19 전개 상황이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 등의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