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만에 경영손실 … 테마파크 문 닫고 영화 개봉도 어려워

코로나19 팬데딕(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테마파크, 영화 등 사업에서 타격을 받은 월트 디즈니가 19년여만에 2분기 적자를 냈다고 미국 유력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디즈니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지난 6월 27일 마감한 최근 분기 매출이 117억7900만달러(약 14조146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42% 감소했다고 밝혔다. 분기 순손익은 47억1800만달러(약 5조6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디즈니의 분기 적자 발생은 2001년 초기 5억6700만달러의 순손실 이후 처음이다.
디즈니의 실적 악화는 코로나19 사태로 테마파크가 문을 닫고 영화 개봉도 힘들어진 결과다. 21세기폭스 엔터테인먼트 부문 인수합병(M&A)에 따른 인수 대금도 영향을 미쳤다고 경제전문채널 CNBC는 분석했다.
다만 9개월 전 출시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플러스)는 가입자가 6050만명을 넘어서 시장의 호평을 받았다. 당초 디즈니가 제시했던 2024년 가입자 목표(6천만∼9천만명)를 4년을 앞당긴 실적이다. 이에 힘입어 훌루(Hulu), ESPN+ 등 디즈니의 전체 스트리밍 서비스 유료 가입자도 100만명을 넘어섰다.
밥 치펙 최고경영자(CEO)는 디즈니+를 회사의 최우선 사업으로 치켜 세우면서 다음달 포르투갈과 벨기에에서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안에 10대 경제권 중 9곳에서 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