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중 한 두곳 '수소 도시' 지정…수소차 구매 보조금도 늘려

정부가 수소경제를 앞당기기 위해 2040년까지 수소 전문기업 1천개를 육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앞으로 10년 안에 수소차는 85만대, 수소충전기는 660기까지 확충하는 한편 3기 신도시 5곳 중 2곳을 수소도시로 조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1일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하고,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1차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6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수소경제위는 산업부, 기재부, 행안부 등 8개 관계부처와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다. 지난 2월 제정된 수소경제법에 따라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주요 정책을 수립·추진한다.
정의선 수소위원회 의장(현대자동차 수석 부회장), 문일 연세대 교수, 이미경 환경재단 상임이사 등 11명은 수소경제위 민간위원으로 위촉됐다.
정부는 우선 수소 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500개, 2040년까지 1천개 수소 전문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 액화수소, 수소충전소, 수전해 등 5대 분야 소재·부품·장비를 집중 지원하고, 우수 기술과 제품에 대해선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적극 구매하기로 했다. 340억원 규모 수소경제 펀드도 조성해 다양한 기업들의 수소경제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지역별 수소 생태계 육성 방안도 제시됐다. 현재 부생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지역은 당진, 울산 등 해안선을 따라 U자형으로 분포돼 있는 반면 수소 관련 기업은 주로 수도권, 경상권에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남, 호남, 중부, 강원 등 4대 권역별 중규모 생산기지를 설치하고, 2025년까지 소규모 생산기지 40개를 더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린수소를 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30년에는 100MW급 그린수소 양산 체제도 마련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85만대, 수소충전소 660기를 확충할 계획이다. 대형 화물차와 중장거리 버스까지 보급 차종을 늘리고, 구매 보조금도 늘린다. 아울러 3기 수도권 신도시 5곳 중 2곳 정도를 수소도시로 조성해 공동주택 연료전지 발전, 수소충전소 및 수소버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선정된 울산, 안산, 전주·완주, 삼척 등 수소 시범도시에도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