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08:40 (화)
월별 구직급여 사상 첫 1조원 돌파
월별 구직급여 사상 첫 1조원 돌파
  •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 felix3329@naver.com
  • 승인 2020.06.08 2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월에 1조162억원 지급해 지난해보다 33.9% 증가
신규 신청자는 11만1천명 …전년동월비 32% 늘어
기업의 신규채용 축소영향 청년 고용보험 가입 감소
99999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1382만명으로 전년동월보다 15만5천명(1.1%)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으로 월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이 지난 2월 37만6천명에서 3월 25만3천명, 4월 16만3천명으로 급감하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다.자료=고용노동부.

코로나19 사태로 일자리를 잃는 사람이 급증하면서 5월 실업급여 지급액이 사상 처음 1조원을 넘어섰다.

고용노동부가 8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5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162억원으로 지난해 5월(7587억원)보다 33.9% 증가했다.

구직급여는 정부가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에게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수당으로 실업급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월별 구직급여 지급액이 1조원을 넘은 것은 1995년 고용보험 제도 도입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1만1천명으로 전년동월(8만4천명)보다 32.1%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34.8% 늘어난 67만8천명으로 이 또한 역대 최대다. 노동부는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 증가에는 신규 신청자 증가 외에도 지급기간 연장 조치와 1인당 지급액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1382만명으로 전년동월보다 15만5천명(1.1%)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으로 월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이 지난 2월 37만6천명에서 3월 25만3천명, 4월 16만3천명으로 급감하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다.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943만7천명으로 전년동월보다 19만4천명(2.1%) 증가했다. 증가폭이 4월(19만2천명)보다 커졌다. 서비스업 중에서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공공행정(4만3천명)이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던 정부 일자리 사업이 비대면·야외 작업을 중심으로 재개됨에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업 가입자도 10만명 늘었다. 지난달 11일부터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고 고3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각급 학교의 등교 개학이 시작된 점도 서비스업 고용 충격이 완화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노동부는 풀이했다.

99999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1만1천명으로 전년동월(8만4천명)보다 32.1%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34.8% 늘어난 67만8천명으로 이 또한 역대 최대다. 자료=고용노동부.

그러나 도·소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은 8천명에 그쳐 4월(1만4천명)보다 축소됐다. 숙박·음식업 분야 가입자는 3천명 줄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여행업을 포함한 사업서비스업도 2만6천명 감소했다. 이들 업종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면 접촉 기피와 사회적 거리 두기의 직격탄을 맞았다.

국내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52만9천명으로 전년동월보다 5만4천명(1.5%) 줄었다. 감소폭이 4월(4만명)보다 커졌다. 주력산업인 전자통신에서 1만2천명, 자동차산업에서도 9천명의 가입자가 줄었다. 코로나19 사태로 해당 제조업 분야의 생산과 소비, 수출이 위축된 결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로는 40대와 50대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각각 3만2천명, 10만6천명 증가하고 60대 이상도 14만1천명 늘어난 반면 29세 이하와 30대는 각각 6만3천명, 6만2천명 감소했다.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축소하거나 연기하는 바람에 청년들의 취업문이 막힌 결과다.

지난달 고용보험 자격 취득자는 48만6천명으로 전년동월보다 9만명(15.7%) 감소했고, 상실자는 43만4천명으로 7만9천명(15.5%) 줄었다. 고용보험 자격 상실자 감소폭이 4월(2만5천명)보다 커진 것은 기업이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받아 고용유지 노력을 하는 상황도 영향을 준 것으로 노동부는 해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