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ICT 적용 주요 활용 사례 소개
우리나라의 뛰어난 정보통신기술(ICT)이 코로나19 사태 와중에서 빠른 정보 제공과 환자 진단, 치료제 개발 연구 등에 활용되는 등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ICT 기술이 적용된 주요 사례를 공개했다. ICT는 ▲확산상황·대응정보 제공 ▲환자 진단·선별 ▲치료제 발굴·개발 등에 활용되고 있다.

먼저 한국공간정보통신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확진자의 동선·선별 진료소·신천지 시설 정보 등을 포함한 종합상황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플랫폼 '클로바'는 경기도 성남시의 코로나 능동 감시자에게 하루에 2번씩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발열·호흡기 증상 등을 확인하는 AI 기반 음성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 플랫폼 클로바의 능동 감시자 상담 결과는 보건소 직원에게 이메일로 전달된다.
ICT 기업 ‘와이즈넛’은 코로나19 예방과 올바른 대처 방안을 알려주기 위한 공익 챗봇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AI를 활용한 진단 키트 개발과 엑스레이(X-ray) 판독 시간 단축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에 대한 확진 여부 진단이 가능해졌다. 코로나19 시약 생산업체 ‘씨젠’은 AI를 진단 키트 개발 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진단키트 개발 기간을 2주 정도로 단축했다.
AI 의료솔루션 개발업체 ‘뷰노’ 는 환자의 X-레이 영상을 3초 이내에 판독해 중증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의료영상 판독 AI를 충남 홍천군 보건소에 설치했다. 이 기술은 대구 소재 병원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AI 기반 의료분석 업체인 ‘JLK 인스펙션’도 AI를 활용해 몇 초 안에 X-레이를 판독, 확진자의 폐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해 의료현장에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이밖에도 ‘디어젠’은 AI 분석을 통해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가 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아론티어’는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KT,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NHN, 코스콤 등 클라우드 기업들은 민간 38개 개발팀에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를 알려주는 앱과 웹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KT는 코로나19가 확산하며 온라인 트래픽이 단기적으로 급증하는 쇼핑몰이나 사이버대학 등 업종에 이용료를 할인해주는 특별 요금정책을 시행하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무상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NBP는 중소기업 대상 서버 가격을 50% 인하했다. NHN도 메신저나 화상회의가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협업 플랫폼 '토스트 워크플레이스 두레이'를 중소기업에 무상으로 제공한다.
과기정통부도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위한 신속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바우처, 재택근무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질병관리본부 등과 협력해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도 운영할 계획이다. 코로나19 대응 관련 AI 알고리즘이나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관이나 기업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