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도 로봇 산업을 미래산업으로 내 세워
시장 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가 분석 전망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로봇 개발에 뛰어들면서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서비스 로봇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alytics)이 2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310억달러(약 37조원)에서 2024년 1220억달러(약 146조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로봇의 수량 기준으로는 연평균 29%의 높은 성장률이다.

서비스 로봇은 크게 전문 서비스용, 개인 서비스용으로 나뉜다. 전문 서비스 로봇으로는 배송·물류 로봇, 의료 로봇과 매장이나 공항, 건물 로비, 식당 등에서 고객들에게 서비스하는 안내·홍보(PR) 로봇 등이 있다.
전문 서비스 로봇은 개인용보다 물량은 적지만 단가가 비싸다. 지난해 기준 전체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전문 서비스 로봇 점유율이 70%(약 220억 달러)를 차지했고, 2024년 78%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이 중 PR 로봇 시장 규모가 지난해 5억5천억 달러에서 2024년 75억 달러 규모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 서비스 로봇 중 가장 괄목할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분야로 국내에서 LG전자가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빕스 등에서 선보인 서빙로봇이 이에 해당한다.
배송·물류 로봇의 경우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지난해 20만개를 도입했다. 국내에서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자율주행 배달로봇 '딜리'를 도입했다.
로봇 개발업체와 유통업체간 제휴도 이뤄지고 있다. LG전자와 배달의민족은 최근 배달·서빙로봇 공동 개발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전박람회 CES2020에서 사용자를 따라다니며 집안 관리를 수행하는 로봇 '볼리'를 공개했다.
개인 서비스 로봇은 로봇 청소기와 잔디깎이 로봇 등이 있다. 개인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96억달러에서 2024년 270억달러로 연평균 23%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