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硏· KAIST·부산대 공동 연구 결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IoT기기 활용길 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IoT기기 활용길 열어

필요한 곳에 자유롭게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스티커형 이차전지가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은 구조적으로 유연하고 어떤 물체 표면에도 탈부착이 가능해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스티커형 축전기를 개발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 제품은 에너지연 분리변환소재연구실 윤하나 박사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김영진 교수,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김승철 교수가 함께 개발한 스티커형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다. 기존 리튬 박막전지와 비교할 때 부피 당 에너지 밀도는 비슷하면서 부피당 출력 밀도는 13배 이상 높다. 윤하나 박사는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어서 기존 리튬 기반 에너지 저장소자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해 12월 국제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온라인판에 실렸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