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면서 올해 8월 출생아 수가 또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의 역대 최저치 행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망자 수가 역대 2번째로 많으면서 인구 자연증가분(출생아-사망자)이 730명에 그쳤다. 이에 따라 지난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머지않아 자연인구마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8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 출생아 수는 2만4408명으로 1년 전보다 2973명(10.9%) 적었다. 8월 기준으로 1981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사상 최저치다.
이로써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41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최저기록을 경신했다. 출생은 계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상 같은 달끼리 비교한다.
1∼8월 누계 출생아 수는 20만8195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8019명(8.0%) 적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6명으로 역시 8월 기준으로 2000년 집계 이래 최저치였다. 8월 기준 조출생률이 5명대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8월 사망자 수는 2015년부터 계속 늘다가 4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사망자 수는 작년 동월보다 260명(1.1%) 적은 2만3677명이었다. 지난해 8월에 고령화 여파와 함께 기록적인 더위로 사망자 수가 4.8% 증가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인구 1천명당 사망자 수를 뜻하는 조사망률은 5.4명으로 8월 기준 작년(5.5명)에 이어 역대 2위였다. 이에 따라 인구 자연증가분(출생아-사망자)은 730명에 그쳤다. 198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8월 기준으로 가장 적다.
한편 8월에 신고된 혼인 건수는 1만8340건으로 1년 전보다 1005건(5.2%) 줄었다. 8월 기준으로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다. 이혼 건수는 9059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4건(2.5%)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