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가 전동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에 대규모 배터리 개발 거점을 조성한다.
현대차·기아는 28일 경기도 안성시 제5일반산업단지 내에서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배터리 캠퍼스) 상량식'을 했다. 배터리 캠퍼스는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배터리 설계·공정 기술을 검증하는 그룹 최초의 배터리 특화 연구개발 거점이다.
배터리 캠퍼스는 19만7000㎡ 부지에 연면적 11만1000㎡ 규모로 조성된다. 현대차·기아는 1조2000억원을 투자해 2026년 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현대차·기아는 "완성차 제조사와 배터리 산업간 협력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차량 관점에서 필요한 성능과 안전 기준을 반영해 배터리를 개발·검증하는 것이 배터리 캠퍼스의 역할"이라고 소개했다.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캠퍼스 내 전극-조립-활성화 등 셀 제조 전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를 갖춰 배터리 기술의 적용 가능성과 품질, 안전성을 검증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셀 설계 기술과 차량 시스템과 연계된 통합 제어 기술을 확보하고, '소재-셀-모듈-팩-차량'으로 이어지는 전 주기 관점에서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연구개발 과정 전반에 데이터 해석 기술과 시험 자동화,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모델을 적용하기로 했다. 배터리 캠퍼스가 완공되면 전기차,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등에 탑재될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배터리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로보틱스·AAM 등 미래 신사업 전반에 확장할 계획이다.
배터리 캠퍼스 구축은 울산 수소연료전지 공장, 화성 기아 PBV 전용 공장에 이어 국내에서 추진되는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다. 앞서 현대차그룹이 발표한 125조2000억원 규모 국내 투자 전략을 전동화·배터리 R&D 분야에서 구체화했다.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은 "배터리 캠퍼스는 국내 배터리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산업 간 협업과 기술 고도화를 촉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