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아파트값이 상승폭을 키워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발표한 11월 둘째 주(11월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7% 올랐다. 전주보다 상승폭이 0.02%포인트 낮아지긴 했으나 40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40주)와 같은 역대 네 번째 장기 상승 기록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꺾이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강남권과 용산구, 성동구 등 한강벨트의 상승폭이 컸다. 10·15 대책 이전부터 같은 규제에 묶여 있던 강남 3구 중 서초구(0.16%→0.20%), 송파구(0.43%→0.47%)는 전주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송파구의 경우 잠실·신천동 재건축 사업 추진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강했다.
성동구(0.29%→0.37%), 용산구(0.23%→0.31%) 등 한강벨트도 전주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한강벨트권인 광진구(0.15%)와 마포구(0.23%)는 전주와 상승폭이 같았다.
경기도 과천시(0.44%→0.40%)와 성남시 분당구(0.59%→0.58%) 등은 상승세가 소폭 둔화하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규제에 묶이지 않아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경기도 화성시(0.26%→0.25%)는 전주와 상승폭이 비슷한 반면 수원시 권선구(0.13%→0.21%)와 용인시 기흥구(0.21%→0.30%)는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주 급등했던 구리시(0.52%→0.33%)는 오름폭이 0.19%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15%로 전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송파(0.32%)·서초(0.30%)·양천(0.29%)·영등포(0.27%)·강동(0.17%)·강서(0.17%)·동작(0.15%) 등 강남권과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