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1.6%로 높아지는 반면 미국의 관세 정책과 세계 교역 둔화로 수출증가율은 1%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연구원은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올해 1.0%에서 내년 2.1%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태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동반 회복하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올해 부진한 것과 비교하는)기저효과로 소폭 반등하고 설비투자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이 예상된다"면서도 "순수출은 관세에 따른 글로벌 교역량 감소로 기여도가 하락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3%에서 내년 1.6%로 높아진다. 올해 배포된 소비쿠폰과 내년에 예정된 소비부양책 효과로 내년 상반기까지 견조한 회복 세가 이어진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수주 회복이 점진적으로 반영되면서 올해 감소(-8.9%)했던 것이 내년에는 증가세(2.6%)로 전환된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해 2.4%에서 내년 2.0%로 소폭 하락하지만,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요가 완만한 성장세를 뒷받침한다.
총수출 증가율은 세계 교역 증가세 둔화로 올해 4.0%에서 내년 0.8%로 낮아진다. 총수입 증가율도 4.0%에서 1.1%로 둔화된다. 경상수지도 흑자 규모가 올해 1115억달러에서 내년 1070억달러로 축소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0%에서 내년 1.8%로 낮아진다. 연구원은 "글로벌 교역 둔화와 국제유가 하락 가능성, 미국의 금리인하 기조 지속에 따른 원/달러 환율 하락 가능성, 지정학적 위험 감소 등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쪽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내년 주식시장 동향과 관련해선 "정책, 기업 실적 기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개인 투자자의 국내시장 이탈 등 시장구조 변화와 높은 수준의 신용융자가 시장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