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 65개는 창업으로 이어졌고 코스닥 상장 기업도 나와
삼성이 2013년부터 12년간 '기술 중시' 경영철학을 기반으로 지원해온 '미래기술 육성사업' 성과를 외부에 처음 공개하고 다양한 혁신 연구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삼성은 7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미래기술 육성사업 2025 애뉴얼 포럼'을 개최했다. '미래기술 육성사업'은 삼성이 '기술 중시' 철학에 기반해 2013년 국내에서 처음 시작한 민간 주도 기초과학 연구지원 공익사업이다. 산업과 인류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도전적 연구과제를 발굴해 지원해왔다.
삼성은 12년간 총 1조5000억원 기금을 조성해 880개 연구과제를 선정하고 연구비 1조1419억원을 지원했다. 연구과제에는 91개 기관과 1200여명 교수, 1만4000여명 이공계 대학원생 등 연구인력 1만6000여명이 참여했다.
미래기술 육성사업은 실험 장비와 재료비 지원에 그치지 않고 연구자들에게 과제 선정, 성과 극대화, 기술 사업화 등의 육성 패키지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삼성으로부터 단계별 전문가 멘토링과 산업계와의 기술교류, 기술창업을 지원 받는다. 현재까지 65개 연구과제가 창업으로 이어졌다.
서울대 윤태영 교수가 창업한 '프로티나'는 2014년부터 5년간 연구 지원을 받아 신약 후보 물질을 빠르게 찾아내는 고속 항체 스크리닝 플랫폼 기술의 기초를 다졌다. 프로티나는 지난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프로티나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 플랫폼을 고도화했다. 그 결과 최근 삼성바이오에피스, 서울대 연구진과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신약 개발 관련 국책과제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삼성은 2014년부터 미래기술 육성사업 과제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애뉴얼 포럼을 운영해왔다. 올해는 처음으로 행사를 외부에 공개해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의 교류를 확대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장석훈 삼성사회공헌총괄 사장을 비롯해 국내 연구진 및 학계 리더 400여 명이 참석했다. 오프닝 세션에서 미래기술 육성사업의 지원으로 뛰어난 성과를 창출한 4가지 대표 사례가 발표됐다.
전명원 경희대 교수는 지난해부터 미래기술 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약 1000개의 중앙처리장치(CPU) 코어를 병렬로 연결해 컴퓨터로 초기 우주를 재현했다. 이를 통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초기 은하들이 100여년에 걸쳐 정립된 표준우주론의 계산 결과보다 더 빨리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등의 초기 우주 데이터를 제시했다.
전명원 교수는 "제임스 웹 망원경이 보여준 불일치는 골치 아픈 문제였지만 저에겐 새로운 도전의 기회였다"며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진짜 모습이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계속 연구에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신설된 '미래 과학기술 포럼'에서는 삼성과 학계 전문가가 함께 선정한 '10대 유망기술', '기초과학 분야 AI 활용' 관련 14개의 특별 발표 세션이 진행됐다. 10대 유망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스마트 열관리 솔루션 ▲대체 에너지 ▲AI 기반 배터리 ▲디지털 헬스케어 ▲AI 기반 바이오 치료제 ▲바이오 컴퓨팅 ▲차세대 컴퓨팅 아키텍쳐 ▲휴머노이드 로봇 ▲포스트 휴먼 신체·인지 증강 솔루션이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김성근 포스텍 총장은 "미래기술 육성사업은 '과학자의, 과학자에 의한, 과학자를 위한' 연구란 점에서 시대를 앞선 결단"이라며 "12년간 일궈온 노력과 경험으로 한국 기초과학·원천기술 분야의 새로운 개혁을 이루길 바란다"고 응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