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주의' 등급 발령…과거 사례 근거로 '조정 가능성' 제시

최근 국내 금 가격이 국제 시세를 큰 폭으로 웃돌자 금융감독원이 17일 '주의' 등급의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16일 기준 국내 금 현물 가격은 그램(g)당 21만8000원으로 국제 금 가격(19만3000원)보다 13.2% 높다. 금감원은 "일물일가 법칙에 따라 국내 금 가격도 국제 금 가격에 수렴할 수밖에 없다"며 금에 투자할 때 유의하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초 이후 국내 금 현물 가격은 69.3%, 국제 금 가격은 53.4% 상승했다. 국내 금 가격과 국세 시세의 차이(괴리율)는 최근 21영업일간 지속적으로 확대돼 13.2%에 이르렀다. 이는 최근 5년간 경험통계상 괴리율 10% 초과 구간(전체의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례적으로 국내 금 가격이 높은 수준이다.
금감원은 과거 사례를 근거로 조정 가능성을 제시했다. 올해 2월에도 괴리율이 22.6%(2월 14일)까지 확대된 후 18영업일 동안 하락 조정을 거쳐 5년 평균(0.7%)으로 좁혀졌다.
금감원은 "국내 금 가격은 제한적 수급 요인과 정보의 불완전성으로 일시적 괴리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물일가 법칙상 평균적으로 국제 금 가격에 수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에 투자할 경우 먼저 해당 상품이 국내 가격을 추종하는지, 국제 가격을 추종하는지를 확인한 뒤 두 가격 간 괴리율을 따져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