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글로벌 라면 소비량은 1231억개, 그 중 한국에서 41억개를 소비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사람 1인당 평균 79개꼴로 1인당 라면 소비량은 베트남(81개)에 이어 세계 2위다.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라면 소비량은 1230억7000만개로 2023년보다 2.4% 증가했다. 한국은 41억개로 세계에서 8번째로 많았다. 이를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5175만명)으로 나누면 1인당 79.2개꼴이다.
한국의 라면 소비량은 2021년 37억9000만개에서 2022년 39억5000만개, 2023년 40억4000만개로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소비량은 2023년보다 1.4%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취해지며 외식을 자제해 라면 수요가 급증했던 2020년(41억3000만개)보다 3000만개 적다.
한국은 2020년까지 연간 1인당 라면 소비량 1위였다. 2021년부터 베트남이 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베트남 인구 1억명이 라면 81억4000만개(4위)를 소비했다. 베트남과 한국에 이어 1인당 라면 소비가 많은 나라는 태국(57개), 네팔(54개), 인도네시아(52개), 일본(47개), 말레이시아(47개), 대만(40개), 필리핀(39개), 중국(홍콩 포함·31개)의 순서다. 이들 국가 모두 전통적으로 국수를 즐기는 식문화가 있는 아시아권이다.
세계 최대 라면 시장은 중국·홍콩으로 지난해 연간 소비량은 438억개였다. 이어 인구 2억8000만명인 인도네시아가 143억7000만개로 2위다. 2023년 3위 시장으로 한 단계 올라선 인도는 83억2000만개로 베트남보다 2억개 많다. 이어 일본 59억개, 미국 51억5000만개, 필리핀 44억9000만개, 한국 41억개, 태국 40억8000만개, 나이지리아 30억개 순서다.
K팝과 드라마 등 K컬처의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세계적으로 농심 신라면과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등 한국 라면의 인기도 높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우리나라 라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증가한 11억1600만달러(약 1조6000억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