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에 직원을 채용하기로 결정한 대기업이 10곳 중 6곳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적자원 테크기업 인크루트가 국내 기업 591곳(대기업 72곳, 중견기업 107곳, 중소기업 412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19일 내놓은 하반기 채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채용 계획을 확정한 대기업 비율은 59.7%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24.8%포인트 높았다. 지난해 대기업 채용 계획은 최근 10년간 조사에서 최저치를 기록했었다.
하지만 대기업과 달리 중견기업의 채용 확정률은 7.4%포인트 낮은 43.0%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채용을 확정한 중소기업 비율은 49.0%로 지난해보다 1.6%포인트 높았다.
대기업은 채용 확정률 상승과 더불어 채용 규모도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 곳도 없었던 세 자릿수 채용이 올해 하반기에는 20.9%로 집계됐다. 두 자릿수 채용도 51.2%로 지난해보다 5.0%포인트 상승했다.
중견기업은 채용 규모 면에서도 감소세가 예고됐다. 세 자릿수 채용은 2.2%로 지난해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두 자릿수 채용도 28.3%로 12.2%포인트 하락했다. 한 자릿수 채용만 69.6%로 12.4%포인트 상승함으로써 중견기업 전체적으로 채용 규모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의 경우 한 자릿수 채용이 90.1%로 대대수였다.
한편 2022년부터 본격화된 수시 채용은 여전히 채용 방식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중 62.2%가 '수시 채용'을 하겠다고 응답했다. 이와 달리 정기 공채는 20.8%로 지난해보다 1.8%포인트 감소했다. 인턴(채용 전환형 및 직무 체험형)의 경우 1.5%포인트 상승한 17.0%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 채용 방식의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은 정기 공채가 6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중견기업은 수시 채용 52.7%, 정기 공채 30.9%, 인턴 16.4%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수시 채용이 72.2%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