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5~79세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고령층의 70%는 계속 일하고 싶어 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였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55∼79세 고령층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지난해 5월보다 46만4000명 늘었다. 이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00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000명 증가했다. 200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 1000만명대에 진입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지난해 5월보다 34만4000명 늘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지난해보다 0.3%포인트(p), 0.5%p 높아졌다. 둘 다 역대 최고치다.
고령층 취업자는 산업별로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많았다. 직능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 비중이 높고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 비중은 낮았다.
고령층 대부분이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계속 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일하는 사람은 30.1%, 그만둔 경우(69.9%)의 절반에 못 미쳤다.
그만 둘 때 나이는 평균 52.9세였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 및 휴업·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서였다.
고령층은 평균 73.4세까지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의 절반(850만2000명, 51.7%)만 연금을 받고 있는데, 그나마 월 평균 86만원으로 최소 생활비에 못 미쳤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말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000원의 63% 수준이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워 계속 일해야 하는 구조로 읽힌다. 고령층 가운데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1142만1000명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했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4세였다.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 비중이나 근로 희망 연령 모두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