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의 AI 신약 개발 겨냥한 '차세대 단백질구조 예측 AI'등 소개

LG AI연구원은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는 '엑사원 생태계'를 공개했다.이 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지난 5년간 AI 모델과 서비스를 만들며 쌓아온 성과물을 내놓은 것이다.
지난 21일 선임된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어, 이홍락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 겸 CSAI(최고AI과학자)는 최근 공개한 '엑사원 4.0'과 '엑사원 패스 2.0'을 시작으로 LG AI연구원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소개했다.
'엑사원 4.0'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며,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AI 모델로 꼽힌다.
이어 LG AI연구원은 복잡한 전문 문서부터 이미지와 분자 구조식까지 완벽하게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모델인 '엑사원 4.0 VL(Vision Language)'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엑사원 4.0 VL'은 메타(Meta)의 라마 4 스카우트(Llama 4 Scout) 모델과의 성능 비교에서 앞섰다.
다음으로 최정규 LG AI연구원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내부 검증 단계를 마친 엑사원 기반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챗엑사원'(ChatEXAONE)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EXAONE Data Foundry)', '엑사원 온프레미스(EXAONE On-Premise)'를 차례로 공개했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임직원의 AI 에이전트인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엑사원 4.0 공개 이후 모델 라이선스 범위를 교육 목적까지 확대했으며,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자유롭게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LG AI연구원은 전문 분야 특화 AI 모델을 빠르게 만들 수 있는 핵심 기술도 소개했다.
이날 공개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고품질 데이터를 생산하는 AI 공장 역할을 하는 플랫폼 기술로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한 명이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엑사원 생태계'의 마지막 순서로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완성한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소개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기업들이 보안 걱정 없이 엑사원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독립된 환경에서 기업용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풀스택(Full-Stack) 설루션이다.
이날 행사에는 LG AI연구원과 협업 중인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AI 신약 개발을 위한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준비 현황도 소개했다. 백 교수는 질병 치료 영역에 있어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를 넘어서는 AI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LG AI연구원은 ▲2021년 AI 영어 독해 경진대회인 스쿼드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며, AI 기술 경쟁력을 세상에 알린 것을 시작으로 ▲2021년 12월 국내 최초 멀티모달 AI 모델 '엑사원(EXAONE) 1.0'을 공개하며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또 ▲2022년 세계 최초로 AI와 인간 디자이너의 협업 작품을 뉴욕 패션위크에 선보였고, 뉴욕 페스티벌 광고제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 2023년 국내 최초로 유네스코와 AI 윤리 실행 파트너십을 맺은 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글로벌 AI 윤리 거버넌스를 이끌어가는 기업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어 ▲2024년 8월 국내 최초 연구용 오픈소스 모델인 엑사원 3.0을 공개하며, 한국의 AI 역량을 세계에 알렸고, 같은 해 12월 공개한 엑사원 3.5는 국내 AI 모델 중 유일하게 스탠퍼드대에서 발간하는 AI 보고서에 포함됐다.
올들어 LG AI연구원은 ▲3월 국내 최초 추론 AI 모델인 '엑사원 딥' ▲7월 국내 최초 일반과 추론 모델을 하나로 합친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