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인공지능(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5년간 16조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AI 발전을 통한 기술주도 성장에 초점을 맞춘 업무계획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다.
아울러 통신비 지원을 통해 보편적 통신서비스를 기본권화하는 국가 디지털 인프라 및 이용자 편익 고도화에도 5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의 업무계획에 따르면 AI 분야에 5년간 16조761억원이 투입된다. AI 3대 강국 진입이 목표로 이 분야에만 12조3000억원의 예산이 투입을 계획된다.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개를 확보하고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AI 고속도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계해 활용하도록 하는 AI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범용 인공지능 등 연구개발 투자 강화, AI특구 등 국가AI 혁신거점 육성, AI 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과 펀드 조성도 추진된다.
글로벌 AI-이니셔티브 전략을 추진하는데 6072억원이 투입된다. 올해 주요 정상급 회의에서 AI기술·솔루션 개발기금을 제안하고 내년에 조성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다. 유럽권 글로벌 AI 공동 연구랩 구축과 빅테크의 국내 AI 인프라 투자 유치에도 힘쓴다.
AI 기본사회 구축에는 1조245억원이 쓰인다. 국가대표 AI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모든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출시하도록 유도하는 데 주력한다.
AI 혁신을 이끌 국가인재 양성에도 1조2800억원이 투입된다. 해외 톱티어급 AI 인재를 전략적으로 유치하고, 역량 있는 신진 연구자에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기업과 대학이 협력하는 AX(AI 전환) 대학원도 2030년까지 15곳을 설립한다. 광주 AI 국가 시범도시 건설에 6000억원을 투입해 AX실증밸리 조성과 155개 연구개발 과제를 추진한다.
국가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와 이용자 편익 증진에도 5년간 3조888억원이 쓰인다. 먼저 사이버보안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안심사회 구현을 위해 2조3430억원이 투입돼 정보보호제도 개선과 AI·양자 보안기술 국산화, 피싱과 스미싱 등의 디지털 역기능 해소를 추진한다.
또한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통신비를 세액공제 대상에 추가함으로써 근로소득자 등 국민 다수의 통신비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소진 후에도 기본적인 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자급제폰와 알뜰폰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최적 요금제 고지 의무를 도입하는 등 기본권으로서의 보편적 통신서비스를 보장하는 데도 주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