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XO연구소, IMF 위기 이후 1000대 상장사 경영실적 분석
매출총액 5년째 사실상 제자리… "성장 이끌 새 엔진 절실"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기업을 가리키는 소위 ‘1조 클럽’ 대상 업체 수가 2012년을 정점으로 줄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성장 엔진 감소를 반증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기업정보 분석업체인 한국CXO연구소는 지난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약 20년 동안은 매출 1조원 이상 기업 숫자가 2.5배 수준으로 늘었으나 최근 몇 년간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기업의 매출 규모도 2012년 이후 사실상 정체 국면이어서 우리 기업들의 '성장엔진' 재점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소가 매출 기준 국내 1천대 상장사의 연도별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당시인 1997년 452조원이었던 이들 기업의 매출 총액이 지난해엔 1천492조원으로 증가했다.
약 20년 만에 3.3배 수준으로 커졌는데 특히 2008년 처음으로 1천조원을 넘어설 때까지는 해마다 성장세를 이어갔다. 2008년에는 전년 대비 증가율이 무려 27.3%에 달하기도 했다.
지난 2012년에는 1천482조원까지 올랐으나 이후 지난해(1천492조원)까지 5년째 1천500조원 문턱을 넘어서지 못했다. 게다가 2012년 이후 지난해까지 매출 증가율이 0.7%에 그쳐 사실상 '제로 성장'을 나타냈다. 매출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제외할 경우 같은 기간 1천341조원에서 1천330조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연 매출 1조원 이상인 기업 숫자도 지난 1997년 74개에서 꾸준히 증가해 2012년에는 192개로 2.5배를 나타냈다. 이후 2013년 189개, 2014년과 2015년 186개에 이어 2016년에는 184개까지 조금씩 감소했다. 지난해 187개로 늘었지만 5년 전에 비해 5개가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