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수급 안정·전기료 인하·온실 가스 감축 효과"
한국전력은 우리나라 전력망을 중국, 러시아, 일본 등과 연결하는 동북아 전력망 구축 사업에 7조2천억∼8조6천억원의 투자비가 소요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한전이 11일 자유한국당 정유섭 의원에게 제출한 '동북아 계통연계(전력망 연결) 추진을 위한 최적 방안 도출 및 전략수립' 보고서에는 동북아 계통연계사업에 소요되는 총투자비를 이같이 추산했다. 이 보고서는 한전이 맥킨지컨설팅에 의뢰해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체적인 사업 구상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국 웨이하이와 인천 사이 370km 구간을 해저 케이블로 연결하는데 약 2조9천억원이 든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한을 거쳐 경기 북부까지의 1천km 구간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투자비는 2조4천억원 상당이다.
일본은 기타큐슈나 마츠에를 해저 케이블을 통해 경남 고성과 연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기타큐슈 220km 구간에 약 1조9천억원, 마츠에 460km 구간에 약 3조3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사업은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일본에는 전력을 수출하는 대형 프로젝트라 추진 자체가이 쉽진 않다. 하지만 성사될 경우 전기요금 인하와 전력수급 안정, 온실가스 감축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맥킨지는 보고서에서 사업 추진으로 인한 기대 효과로 국내 전력수급 안정화를 우선 꼽았다. ‘전력 섬’인 우리나라 전력망을 다른 나라와 연계시키면 국내 전력생산이 부족할 경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생긴다.
탈석탄, 탈원전, 재생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수급 및 계통 불안정 우려를 해소하는 유용한 수단도 될 수 있다는 얘기다.